이 책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 "길을 잃고 방활할 때마다 나는 역사에서 답을 찾았다" 라는 문장을 본 이후였습니다.
수많은 선택의 기로에 놓인 삶을 살아가면서, 조금은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항상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어온 스스로에게 조금 더 나은 선택을 하게 도움을 주는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고 이 책을 선택한 그런 제 생각에 큰 도움을 주게 되었습니다.
수백 년 전 이야기로 오늘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 역사 대중화를 위해 항상 노력해온 저자 최태성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점은 기존에 역사를 공부해온 저의 시점과는 많은 다른 부분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이후로 따로 역사를 공부해본 경험이 없는 저에게 쉬운 설명과 색다른 접근 방법 그리고 예시를 통해서 오랜만에 새로운 것을 다시 공부한다는 걱정이 가득했던 저에게 쉽게 역사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설명해주었습니다. 많은 역사책 그리고 드라마에서 다루고 있는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현대사회의 발전과 함께 어우러져 설명을 하고, 다른 역사들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여 역사라는 큰 그림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내용 구성이 인상 깊었습니다. 인문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시간이 흐르며 반복되는 유사한 문제점을 역사라는 하나의 가이드로 해결책을 제시하여 한 번의 정독이 아닌 같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다시 한 번 펼쳐보고 싶은 생각을 가지게 한 이 책은 다시 한번 역사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져다준 책입니다. 단순한 역사 설명을 넘어서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한 책의 구성이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역사의 디테일을 함께 공부하며 읽으면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두 번째 읽을 때는 그렇게 시도해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