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내가 읽게 된 책 "리더라면 정조처럼"의 머릿말에 언급된 내용처럼, 정조는 비극적인 개인의 삶을 뛰어넘어 역사에 이름을 남긴 훌륭한 군주로서의 삶을 살았다. 그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 이후 자신에 대한 반대 세력들의 온갖 음모와 폐출 위기를 겪었고, 나아가 국왕이 된 이후에도 숱한 죽음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조가 당대 개혁군주로서 한 시대를 이끌고, 현재까지 우리 역사상 최고의 지도자로 인정받는 것은 그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리더십과 정치적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본 책에서 언급된 마흔 아홉 가지의 정조의 리더십 중 내가 특별히 배우고 싶은 열 세가지의 리더십 유형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리더는 자기가 정통한 분야 또는 자신이 주도하는 분야에 대한 확고하고 뛰어난 지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정통성과 리 더십을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그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위에 서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 스스로가 아무것도 모르는데 그 구성원이 그 리더를 믿고 따라올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두번째, 리더들은 반드시 건강을 위해 시간을 정해 놓고 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대로 된 일을 추진하려는데 건강 때문에 일을 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리더십이 발휘될 수 없다. 세번째, 리더는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 리더들이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과 매사에 공정한 분석과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특정 인연으로 구성원의 잘못을 덮는다면 그 사회와 조직을 발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정조는 국왕으로서 사적인 이익을 철저히 배제하고 오로지 공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며, 친인척과 측근들의 잘못은 추상같이 다스렸다고 한다. 네번째, 어려운 처지에서 일을 시작해서 온갖 어려운 일을 당했다고 하더라도 분노를 참고 사람들을 배려하며 그들의 실수나 무능력을 비난하지 않고 부드럽게 깨우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일은 완벽하기를 요구하지 말고, 말은 다 하려고 하지 말라"라는 말이 인상적이라고 생각한다. 다섯번째, 리더는 초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초심을 잃지 않고 조직을 탄탄하게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처음에 함께 한 이들을 배려하고 그들과의 우정을 변치 말아야 한다. 여섯번째, 리더는 자신의 측근들의 잘못을 과단성 있게 처리해야 한다. 자신과 여러 인연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해 면죄부를 주거나 잘못을 덮으려 한다면 조직을 제대로 이끌어 갈 수 없다. 시대의 흐름을 정확히 읽고 측근들의 잘못을 과감히 혁파애 나가야만 현재의 시대에 성공할 수 있다. 일곱번째, 리더는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리더는 용기를 갖고 소통하여 서로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하고 결과적으로 서로 양보하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여덟번째, 리더는 자신의 것을 동료들과 나누는 것을 통해 동료들로부터 존경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아홉번째, 리더는 자신이 계획한 미래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전에 이를 실험할 핵심 기반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 할지라도 사전준비 없이 진행하다가 실패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열번째, 리더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 애정이 없이는 사람들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열한번째, 리더는 술에 대한 철학을 생각하고 중요한 일을 해야 할 때는 절대로 술을 마시지 말고, 해야 할 일이 다 끝나면 동료들과 함께 하면서 우의를 다질 수 있어야 한다. 열두번째, 리더는 지식과 정보를 나와 주요 이너서클만이 갖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특급 정보를 제외한 대부분을 함께 하는 동료들과 공유하는 것이 좋은가를 깊이 있게 고민하고 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나와 함께 하는 사람들이 똑똑해져야 조직 또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세번째, 리더는 자신과 다른 사상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이와 관련, 정조는 불교와 도교, 서학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무조건 배척하던 그 시대에 성리학만이 세상을 움직이는 사상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이야기했다. 다른 생각, 다른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만큼 사회는 풍요로워지고 아름다워질 수 있다 라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