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부를 깊게 하고 싶었던 차에, 초보자에게도 어느정도 투자 경험이 쌓인 유경험자에게도 추천하는 책이라고 자주 듣는 경제 유튜브 방송인 '삼프로 티비'에서 극찬하기에 사경인 회계사의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라는 책을 골랐습니다. 챕터, 챕터를 넘어가며, 계속 느끼게 되는 점이 이 책이 왜 베스트 셀러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재무제표의 여러 항목 중 알아야 할 부분만 콕 집에 사례와 함께 설명하고, 깊이 들어가는 듯 하면서도 쓸데 없는 내용을 과감하게 쳐내서 어떤 면에서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시중에 있는 여러 책중에 주식하는 분들에게 가장 도움이 될듯한 재무제표 공식을 담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경인 회계사 스스로도 투자자로서 책을 쓰니 무엇이 필요한지 내용의 경중을 잘 파악하고 있고, 증권에게 강의를 진행한 경험이 있다 보니, 여러 투자자 들이 공통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 어려워 하는 혹은 잘모르는 상황을 쉽게 정리한 듯 합니다. 사경인 회계사는 책 후기에 이 책을 다 읽고 독자들이 두가지 중 하나로 선택했으면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주식이 이렇게 어려운 거였어?''라고 생각하며 주식 투자를 그만하는 것이고, 둘째는 ''주식이 이렇게 어려운 거였어?''라고 생각하며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기초부터 공부하고 올바른 투자를 해야겠다는 자세를 가지는 것입니다. 둘다 매우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고 나서 나는 선택은 둘 중 어느것이 되어야 할까 고민이 되고, 당연히 두번째 목표에 도전하는 것이 라고 생각하지만, 과정 중에 계속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자문 자답하게 됩니다. 원하는 목표대로 투자 수익을 실현하지 못했다면, 온전히 내 잘못이다. 투자한 기업의 대표가 잘못한 것도 아니고, 시장의 잘못도 아니며, 추천해준 애널리스트의 잘못도 아닙니다. 내 스스로 회사에 대해 제대로 공부하지 않고 투자했기 때문이다라고 결론을 짖고, 공부해야하는 중요한 방법론중 하나로 재무제표를 꼽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경인 회계사는 이 책을 통해 재무제표를 읽는 법이 아니라 여러 실제 상황에 근거한 사례를 바탕으로, 그 상황의 재무제표를 보고 왜 이런일이 일어났을까를 생각해보는 식으로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방법을 말해 해주고 있습니다. 그중 인상 깊었던 내용 중 하나는 주가가 2주 만에 반토막난 케이스입니다. 이 사례에서는 3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한 회사가 관리종목에 편입되는 휴지주식(?)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고, 이 과정을 통해 재무제표에서 확인해야 할 내용들을 풀어서 해설해 주고 있습니다. 사경인 회계사는 보통 투자자 들이 주식을 살때 재무제표를 절대 보지 않는다고 경험에서 우러나 확신합니다. 재무제표를 먼저 살펴 봤다면 상장폐지될 종목이나, 관리종목으로 편입될 종목이 자명한데, 다른 요인들로 인해 그러한 주식에 자산의 돈을 투자하고 있는 많은 케이스들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기본적인 교양서적과도 같습니다. 기본 중에 기본으로 돌아가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알고, 투자하기 전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번만 읽어본다면, 높은 수익은 예측할 수 없더라고, 재무제표 상으로 예견된 위험을 미리 알수 있다 라는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유상증자를 할 것인지 재무제표에 정보가 담겨 있고, 감사의견 해설을 통해 중요점이 무엇인지, 감사의견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어떤 것인지 설명해 줍니다. 저 또한 감사의견의 정보량이 대단하지 않은 것이라 폄하한 적이 있었으나, 사경인 회계사가 알려준 케이스들을 보며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주식의 가치를 비교, 평가하는 대표적인 수치인 PER, PBR 등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당 수치들이 결국은 재무제표에서 시작되었고, 어떤 의미를 주는 항목들이 모여서 이 수치가 나왔는지 다시한번 리마인드 시켜줍니다. 사경인 회계사는 이 책을 통해 기본 중의 기본으로 돌아가서, 나 스스로 투자 방법에 대한 고민을 풀어줍니다. 배당주를 투자하든, 성장주를 투자하든 결국 재무제표를 통한 기본 정보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투자라는 행위를 하며 재무제표를 읽지 못하것은 결국 ''투기''일 수 밖에 없다는 교훈을 줍니다. 동시에 재무제표를 설명하는 책들은 모두 어려운, 전공서적에 가까운 것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게도 해줍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표로 재무제표가 구성되었는지 다양한 사례를 제시해 주며, 숫자 읽기의 즐거움을 일깨워 줍니다.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정말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