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화력은 자기가축화hdotestcatn를 통해서 진화했다.
수 세대에 걸친 가축화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지능을 쇠 퇴시키지 않으면서 친화력을 향상시킨다. 어떤 동물이 가축화 될 때는 서로 아무 관련 없어 보이는 많은 요소가 변화를 겪는 다. 가축화징후'라고 불리는 현상의 변화 패턴은 얼굴형, 치아 크기, 신체 부위별로 자기 다른 피부색에서 나타난다. 호르몬 과 번식주기, 신경계에서도 변화가 일어난다. 우리가 연구에서 발견한 것은 조건이 일정하다면 자기가축화가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하는 능력도 향상시킨다는 점이다.
이 모든 무관해 보이는 변화는 발달과 관련이 있다.
처음 동물을 연구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경쟁적 속성에만 집중한 나머지 의사소통 능력이나 친화력이 동물뿐 아니라 우 리의 인지 발달에도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상대 를 조종하는 기술, 속이는 기술의 향상이 동물계의 진화적 적 음력을 설명해주는 근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내가 발견 한 것은 똑똑한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우리의 감정은 보람차거나 고통스럽다거나 매력적이라거나 혐오스럽다 고 느낌 때 아주 큰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이 책에서 사람'은 호모 사피엔스를 뜻한다)은 네안데르탈인 처럼 10명에서 15명 정도의 작은 무리로 살다가 친화력이 높아 지면서 100명이 넘는 큰 규모의 무리로 전환되었다. 뇌가 더 크 지 않더라도, 협력을 잘하는 더 큰 규모의 호모 사피엔스 무리 가 다른 사람 종 무리를 쉽게 이길 수 있었다. 타인에 대한 감수 성을 가진 우리 종은 갈수록 복잡한 방법으로 협력하고 소통했 고 이로써 문화적 역량도 새로운 경지로 나아갈 수 있었다. 우 리 종은 누구보다 빠르게 혁신할 수 있었고 또 그 혁신을 공유 할 수 있었다. 다른 인류는 가망이 없었다.
하지만 우리의 친화력에도 어두운 면은 존재한다. 우리 종 에게는 우리가 아끼는 무리가 다른 무리에게 위협받는다고 느 낄 때, 위협이 되는 무리를 우리의 정신 신경망에서 제거할 능 력도 있다. 그들을 인간이 아닌 존재로 여기는 것이다. 연민하고 공감하던 곳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공감하지 못하므로 위 협적인 외부인을 우리와 같은 사람으로 보지 않으며 그들에게 는 얼마든지 잔인해질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관용적인 동시에 가장 무자비한 종이다
낯선 이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능력은 계속해서 향상되 었다.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는 사람의 폭력성 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해왔다고 말한다. 62 유발 하라리Yuval Harari는 이렇게 말한다. "정글의 법칙이 마침 내 깨졌다. 아니, 폐기되었다고 해도 될 법하다. (••) 전쟁 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이 갈수록 늘 고 있는 것이다.” 63
우리는 이 변화가 사람 자기가축화의 산물이라고 본다.
집단 내 타인이라는 개념이 생기면서 우리는 한 번도 만 난 적 없는 이들까지도 사랑하게 됐다. 이 확장된 가족 개 념은 과거 우리 종의 성공에 이바지했으며, 미래
도 아주 희망적이다. 인구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더 많은 자원을 써야 할수록, 우리 종이 지속적으로 번영하기 위해서는 신뢰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혀가야 한다.
유인원의 친척 가운데, 오직 보노보만이 우 리를 괴롭혀온 치명적인 폭력성에서 벗어난 종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서로를 죽이지 않 는다. 탁월한 지능과 지성을 뽐내는 인간이 하지 못한 것을 보노보가 성취한 것이다.
나눔은 모두에게 더 많 은 식량이 돌아간다는 뜻이었으므로 협력의 동기가 되었다. 유 대감 돈독한 이들 부족은, 수백 세대에 걸쳐서 협동심이 약하거 나 믿고 의지할 사회보험이 미미한 폭압적 집단을 앞설 경쟁 우 위를 키워왔다.
이 보험이 사회적 관계의 셈법을 바꿔놓는다. 침팬지의 협력 이 공포와 폭압에 의해 강제된 것이라면 수렵채집인들의 협력 은 모두에게 보상으로 돌아갔다. 서로를 제압하기 위해서 힘을 합치는 침팬지와 달리 수렵채집인들은 개인이 집단을 지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격성을 이용했다. 사람 사회에서 지배력을 선 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권력 장악을 막기 위한 용도로 공격성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30,43 나눔, 관용, 협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위와 같이 새로 알게된 정보들이 많았고, 내용이 어렵지만 흥미로워서 천천히 한번 더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