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다
위인의 역경에도 불구하고, 위인이 된 것이 아니라 사실 역경 덕분에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었던 것
고무공과 유리공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들과 깨지기 쉬운 사람들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도약의 기회로 삼는 것,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경험자아와 기억자아
미래에 대한 예측과 그에 따른 의사결정-예컨대 지금 무슨일을 어떻게 할것인가 등은 전적으로 기억자아에 의존하며, 기억자아가 자신의 고난과 역경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긍정적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 바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
정신적 저항력
회복탄력성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그 환경을 스스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하는 인간의 총체적 능력이다
변화하는 상황에 알맞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조절능력 = 감정조절력 + 충동통제력 + 원인분석력
대인관계능력 =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자아확장력
긍정성 = 자아낙관성 + 생활만족도 + 감사하기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세가지 점수의 총합이 당신의 회복탄력성 지수이며, 답은 긍정성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긍정성을 습관화하면 누구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실수를 두려워하는 소심한 사람일 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으며, 자신의 실수 혹은 역경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는 스스로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지닌 사람들이다.
# 자신을 이해하는 힘, 자기조절능력
자기조절능력 = 감정조절력 + 충동억제력 + 원인분석력
IQ와 성취도 사이에는 그 어떠한 상관관계도 없다
자기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는 사람들은 각각 해당 분야와 관련되는 지능과 함께 모두 자기이해지능이 높다는 사실, 자기이해지능은 다른 지능의 발휘를 돕는 일종의 지능의 지능, 즉 메타지능이라고 부를 수 있다
- 감정조절력
감정조절력은 압박과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평온함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기능적 고정성의 극복이란 결국 사물의 주어진 의미를 던져버리고 능동적으로 자기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다. 역경을 오히려 기회로 바꾸어 놓는 힘. 그 힘이 바로 기능적 고정성의 극복 능력이다
- 충동통제력
충동통제력은 자신의 동기를 스스로 부여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과 관계이다. 매슬로우의 사람을 움직이는 2가지 동기는 1.결핍동기, 2.성장동기이다. 미래의 달콤한 보상을 위해서 현재의 고통을 참아내야 한다는 식의 삶의 태도를 '채식주의자의 맛없는 음식'이라고 빗대어 얘기했다. 하루하루, 한순간 한순간의 적분이 곧 나의 삶, 행복은 '성공의 결과'라기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길'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원인분석력
원인분석력은 내게 닥친 문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그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도록 원인을 정확히 진단해내는 능력이다. 원인분석력은 자신에게 닥친 사건들에 대해 긍정적이면서도 객관적이고 정확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잇는 능력이다. 장기기억은 1.사실기억, 2.에피소드기억이 있는데 에프소드 기억이야말로 그 사람이 누구인가를 결정짓는 정체성을 이루는 기억이며, 이는 스토리텔링으로 이루어진다.
# 함께할 수 있어 더 행복한 삶, 대인관계능력
핵심은 다른사람의 마음과 감정상태를 재빨리 파악하고, 깊이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 있다.
대인관계능력 =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자아확장력
- 소통능력
소통능력이란 바로 인간관계를 진지하게 맺고 오래도록 유지하는 능력이다
공통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것이 곧 소통이다
- 공감능력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감지하고 그것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대신 경함하는 인지적 과정이다. 너의 입장을 헤아리는 순간 우리는 주체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타인을 바라본다는 것은 결국 타인에게 비친 내 모습을 바라본다는 것. 바로 공감능력을 일컫는다
- 자아확장력
타인에게 벌어지는 일들도 마치 내게 벌어지는 일처럼 인지적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능력이다. 어려서부터 무조건적인 사랑을 경험해야 아이들은 타인과 나를 동일시하는 자아확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할 일
뇌를 긍정적 회로로 바꿔야 하며, 원하는 것만 이루면 상당히 행복해질 것 같은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신의 강점에 집중하자.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 강점을 늘 들여다보고, 일상생활 속에서 실행하면서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가장 확실하고도 빠른 길이다.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2가지 습관은 1. 감사하기, 2. 운동하기이다. 심장박동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은 바로 '감사하는 마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매일밤 잠자리 들기 전에 그날 있었던 일들을 돌이켜보면서 감사할 만한 일을 다섯가지 이상 수첩에 적어두자. 감사일기를 쓰자
석달간 운동을 한 건강한 성인의 뇌에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겨났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꾸준히 운동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