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문에 나오는 것처럼 가는 말이 고우면 오는 말도 곱다는 말처럼 좋은 질문은 좋은 대답을 부르기 마련인것에 대해 적극 찬성함
- 상황에 따른 리액션 관련해서 상대방이 언급했던 표현을 다시 사용하면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상대방의 이야기에 전적
으로 동의할 수 없더라도 우선 긍정적인 반을을 보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
- 첫 인사하기와 관련해서 중요 내용으로는 긍정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대상을 한정하지 않는 오픈 퀘스천을 던지고, 상대방이 푹 빠져
있는 것을 화제로 삼고, 칭찬하기+질문 공식을 활용하고, 직업적인 것보다 배경을 묻는 방식 등임. 아울러 칭찬에 객관적인 관점을 덧붙
이고, 간접적인 칭찬을 하며, 주관식 말고 객관식을 사용하며, 내 생각을 강요하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함
- 대화에 활력을 불어넣는 질문법과 관련해서 중요한 것은 가족 이야기는 형제 관계부터 시작하고, 할 수 있냐?가 아닌 좋아하는가?로 질문
하며, 성공 뒤의 배경을 묻고, 계기를 시작으로 풀어가며 상대방의 상황을 먼저 묻는 것이 중요함
- 사람을 성장시키는 질문법과 관련해서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며, 구체적인 액션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 상대방의 의욕을 북돋는 질문법과 관련해서는 일의 목적을 생각하도록 하며, 일의 가치를 깨닫도록 하며, 도움이 되는 일이라고 느끼게
하는 것이 필요함. 아울러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게 하며, 누군가를 지도하는 입장에서 생각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
- 능력 있는 사람들의 습관, 자문자답과 관련해서는 만족감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자신을 냉정하게 돌아보는 것도 중요함. 아울러
나를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상대방의 장점을 찾고, 하고 싶은 일인지 아니면 억지로 하는 일인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