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공지사항 FAQ QnA
  • New Arrival
  • BestBooks
  • Category
  • Book Cafe
  • My Books
  • 후기공유
  • 읽고 싶은 책 요청
까면서보는해부학만화(교양툰)
5.0
  • 조회 160
  • 작성일 2021-09-14
  • 작성자 이태경
0 0
본서는 인간의 신체에 대해 부위별로 구조별로 해부학적 묘사를 만화를 통해 제공하고 있어서 중고등학생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의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인체의 주요부위에 있는 뼈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어서 의과의 주요 분야중 정형외과의 내용이 주를 이루며 순환계나 소화계 신경계 등을 책의 후반부에 각 장을 짧게 다루고 있다.
만화적 표현이 주를 이루고 책의 분량이 작아서 깊이있는 해부학적 지식을 모두 담고 있지는 못하며 매우 기초적인 수준의 해부적 개요 정도만 제공되고 있다. 과반수의 분량은 만화적 재미와 유머의 제공에 할애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 해부학적 전공지식이나 정형외과적 치료법이나 특정 질환에 대한 치료책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냥 매우 가볍게 일반적인 만화를 부담없이 읽는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보면 크게 후회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생물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이고 처음으로 인간의 해부학을 공부하는 청소년 이라면 이 책을 통해 인간의 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특히 뼈의 구조도와 기초적인 해부학적 그림을 통해) 도움이 되는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골격 그 근육의 사정 (뼈의 사정)" 이라는 챕터를 보면 저자가 뼈와 근육의 작동 원리와 중요한 의학적 지식을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뼈는 혈액 응고, 근육 수축, 신경전달에 필요한 칼슘을 아낌없이 제공하는 광산의 역할을 하며 칼슘을 충분이 먹지 않으면 뼈를 저장하는 속도가 뼈를 사용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뼈의 구조가 듬성듬성해지는 골다공증에 걸릴수 있다고 설명한다. 뼈 자체만으로는 독립된 구조물을 이루지 못하도 뼈와 뼈를 연결하는 인대가 필요하며,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을 통해야만 비로소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근육의 세계에 닿는다. 근육은 힘줄을 통해 뼈에 붙어있다. 뼈 하나 하나는 굉장히 복잡하고 들쑥날쑥하게 생겼으며 힘줄은 만은 표면적을 제공하는 툭 튀어나온 뼈대부분에 달라붙어 성장한다. 뼈는 거칠거칠한 부분이 많아 힘줄이 붙어있을 수있게 하며 우리 몸을 지탱하고 있다.
손의 해부학에 관련된 챕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소개된다. 손은 단위면적당 뼈의 개수가 가장 많은 부위이다. 종자뼈가 랜덤하게 생기는 엄지손가락에는 다른 네손가락에 맞서는 움직임을 위한 특별한 근육이 있다. 이것이 바로 엄지 맞섬든이다. 물건을 잡을때도 꼭 필요하지만 손가락 하트를 만들때도 꼭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인에게 특히 중요한 근육이다. 엄지 오에도 다른 네손가락은 팔꿈치부터 시작하는 굽힘근육들로 구부리는데, 그중 가장 표면에 있는게 긴손바닥근이다. 손가락굽힘근들은 미세하게 굽히고 쥘수 있도록 실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이 덕분에 글씨쓰기, 악기연주, 젓가락질 등 손가락을 섬세하게 움직이는 활동을 할수 있다.
어깨는 부상이 빈번하기로 유명한데, 대표적인 부위가 가시위근 (극상근)이다. 가시위근은 팔을 벌리기 위해 움직일 때뿐만 아니라 힘을 빼고 쉴 때조차 위팔뼈를 붙잡고 있는 근육으로 구조상 어깨뼈가시와 연결된 어깨 봉우리에 끼는 가시위근 충돌이 자주 발생한다. 어깨의 근육으로 인한 부상도 사실은 온몸의 근육이 모두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한 부위만 신경쓰는 예방은 바람직하지가 않다. 중요한 것은 전체 밸런스이다.
팔에 존재하는 뼈는 손쪽에 연결되는 노뼈와 자뼈가 있다. 노뼈는 손목을 돌릴때 일하며 노뼈가 가만히 있는 자뼈를 타고 넘어가며 (엎침) 노뼈는 휘어있기 때문에 서로 부딪히지 않게 된다. 팔꿈치를 만지며 손목을 돌려보면 자뼈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수있다.
본서의 후반부에서는 신경계와 순환계 소화계 등도 다루고 있는데, 소화계에서는 각 장기의 기능이 간결하게 잘 설명되어 있다. 간은 직접 소화를 하는 장기는 아니지만 쓸개즙을 만들어 화학적 소화를 돕는다. 쓸개는 간이 생성한 쓸개즙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간은 콜레스테롤 대사, 영양소 저장, 해독 등 매우 다양한 일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이자는 내분비계와 소화계에서 활동하는 장기로서 이자섬에서 분비하는 혈당조절물질인 인슐린을 분비한다.



등록
도서 대출
대출이 불가능합니다.
취소 확인
알림
내용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