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공지사항 FAQ QnA
  • New Arrival
  • BestBooks
  • Category
  • Book Cafe
  • My Books
  • 후기공유
  • 읽고 싶은 책 요청
고수들의 계량경제학
5.0
  • 조회 204
  • 작성일 2021-10-27
  • 작성자 이상경
0 0
경제학을 비롯한 사회과학 연구에서 매우 빈번히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는 세터리스 파리부스 (ceteris paribus),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other things equal) 이라는 개념이다. 가령 수용의 법칙은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현실에서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를 때 다른 조건들도 같이 변한다면, 수요량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현실에서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를 때 그 재화의 시장 수요량이 동시에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수요의 법칙을 위배하는 것은 아니다.

예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아파트 가격 상승에 의한 수요 급증 현상을 들 수 있겠다. 정부는 취득세 중과, 특정 지역에서의 거래허가제, 양도세 중과, 주택구입자금대출 억제 등 강력한 수요 억제책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르고 수요가 꺽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다른 조건 중의 하나인 기호가 동일하지 않게 되어, 즉 아파트구입후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투기수요가 가세됨으로써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요량이 증가한 것으로써, 수요의 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가격이 오를 때 수요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라야 수요의 법칙에 대한 반대 사례로 인정받을 수 있다.

현실에서 한 상품의 시장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격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소득, 기호, 연령구조, 성별, 날씨, 온도 등 매우 다양하다. 이론에서 제시하는 수요의 법칙을 현신 경제의 데이터를 이용해 증명하기 위해서는 실증분석에서도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를 구현해야 한다. 그러나 실증연구에서 이 상태를 구현하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니다. 만약 실증분석에서 이 상태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으면, 그 분석은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이과관계가 아니라 상관관계( 혹은 연관관계)만을 보여줄 뿐이다. 사회과학 연구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질문들은 대부분 상관관계가 아니라 인과관계에 관한 것이다.

교재에서 사례로 들고 있는 학교 교육과 수득 상이의 인과관계를 생각해 보자. 평균적으로 대학졸업자의 소득은 고등학교 졸업자의 그것 보다 몇 배 높은가? 만약 대학 졸업자의 평균 소득이 더 높다면 그 차이는 학교교육으로 인한 결과인가 아니면 대학 졸업자의 다른 장점들로 인해 나타난 차이인가? 학력과 소득의 관계를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기반 위에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사회과학 실증분석에서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상태를 구현해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는 방벙을 알려 준다. 이책은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기 측정하기 위해 지난 수십년 동안 계량경제학에 개발한 방법과 예제를 생생하게 들려 준다.

인과관계 문제를 공략하는 계량의 핵심비법이 동전던지기와 같은 무작위 실험(randomized experiment)에 있다고 제시한다. 무작위 실험을 통해 원인변수를 배분하면, 자연스럽게 다른 조건들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사회 실증연구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그렇다고 무작위실험의 수 또는 표본을 적게 하면 선택편의가 불가피하여 실증연구가 없어 지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무작위비교와 함께 네 가지 실증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이들은 무작위 실험만큼 강력한 무기능 아니지만 무작의 실험이 불가능한 실전 상황에서도 인과관계를 보여 줄 수 있는 강력한 방법론이다. 바로 회귀분석법(regression), 도구변수법(instrumental), 회귀단절모형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s), 이중차분법 (differences in differences) 이다.

비교적 많은 표본을 필요로 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무작위시행의 실행상 곤란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면서도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로 회귀모형을 들 수 있다. 회귀모형에서는 동일한 관측 특성들을 보유한 처치집단 실험대상자와 통제집단 실험대상자들을 비교한다. 회귀모형은 도구변수법 등 타 수단들을 이해하게 하는 기초 방법론으로 작용한다. 회귀모형에 기반한 인과관계 추론에서는 핵심적인 관측 변수들을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애 동일하도록 만들면 위락 볼 수 없는 것들로부터 발생하는 선택편의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등록
도서 대출
대출이 불가능합니다.
취소 확인
알림
내용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