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서양에서는 관상학이 예언적 관상과 분석적 관상의 양대 축으로 발전 또는 쇠퇴를 반복하면서, 예언적 관상은 쇠퇴를 분석적 관상은 성격, 진로, 적성, 직무역량, 심리학, 정분분석, 뇌과학으로 발전을 해왔으나, 동양에서는 예언적 관상이 상류층에서는 정권 쟁취나 유지에 기여하고 하류층에서는 서민들 삶에 기생해서 살아가는 사이비 관상가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학문적 발전은 거의 없고 오히려 학문에 대한 비판적 시선만 강하게 받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동양에서 관상이 관상학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예언적 관상에서 벗어나 분석적 관상으로 거듭나야하고, 학문적 토대를 굳건히 하여 관상 속에 나타난 성격분석, 직업적성분석, 직무역량분석, 관계분석 등을 통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고대의 관상가들이나 관상서에는 쪽집게 예언을 경계하고 숙명론을 비판하고 있으며, 관상은 마음의 상보다 못하다는 "관상불여심상"이나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상유심생"등 관상은 예언적 숙명론이 아닌 노력을 강조하고 마음 씀씀이를 강조하고 있다고 하였다.
1부 인상학에서는 인상학의 의미와 역사, 인상학의 종류에 대하여,
2부 관상학 이해에서는 관상학의 의미와 역사를 동양과 서양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골상학의 의미와 역사를 설명하였다.
3부 관상학의 성격분석과 리더십 분석 실제에서는 관상의 분석방법, 관상학 옛 서적, 관상가, 저자가 재미있게 분석한 현대인물의 관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4부 얼굴 부위별 성격 및 리더십 분석에서는 귀, 이마, 눈썹, 눈, 눈동자, 코, 입, 볼, 뼈 관상을 알려준다.
저자는 관상은 자신의 내면이 얼굴로 투영된 것으로, 잘생기고 못생긴 것은 부모 덕분이지만, 관상의 좋고 나쁨, 맑음과 탁함, 귀함과 천함은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이므로 자신을 돌아보고 수양하며 기도하는 삶을 살아가야 좋고 맑고 귀한 좋은 관상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관상학의 성격 분석과 리더십 분석 실제를 통해서 얼굴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 얼굴의 이목구비별 분석하는 관상법과 동양의 관상과 관련해서는 관상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얼굴형 등에 따라 성격에 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사주팔자와 오행의 점수에 따라 어느 정도 결정이 되는데, 많고 적음이 가장 뚜렸하게 나타나고, 발달 오행에 따라 인간 오행도 어느 정도 관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에니어그램, MBTI 16가지 유형 등 최근에 많이 활용하는 심리나 성격적 기법에 직업 적성, 사주명리 오행, 성명학까자지 연계해서 동양과 서양을 서로 연결해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관상과 심리학 두분야가 동양과 서양의 다른 학문이라고 생각했는데, 관상과 심리학이 만나면서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이야기가 더 풍부해졌다. 성격분석을 통해 관상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러한 관상을 가진 사람은 특정한 리더십이나 성격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예측까지도 시도한다. 중간중간 기원이나 어원 등을 이야기 해주고, 재미있는 관상이야기를 통해 책을 읽는 동안 흥미를 잃지 않을 수 있었다. 또한 우리가 알만한 인물을 예시로 들어 책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되었다.
또한 저자의 코에 대한 설명이 흥미롭다. 관상에서 코는 나를 상징한다. 주변의 이마, 턱, 광대뼈는 주변사람에 해당된다. 얼굴을 삼등분하여 이마 시작부터 눈썹까지, 눈썹부터 코끝까지, 코끝에서 턱까지 3등분하여 얼굴의 중심을 잡는 것이 코다. 눈썹부터 코끝까지의 길이가 얼굴의 1/3보다 길면 긴 코, 얼굴의 1/3보다 작으면 짧은 코로 본다. 코가 너무 작고 이마와 광대뼈, 턱부위가 높으면 자존감은 낮고 의지가 약하고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주변의 배신을 당한다. 코가 너무 크고 이마와 광대뼈, 턱부위가 낮으면 자존심만 강하고 자기 중심적이며 타인들을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하게 된다. 코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는데 모든 관상이 그렇듯 코도 어느 한 모양이나 형태로 규정하기가 어렵고 조금씪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코의 시작부분은 절궁액으로 질병과 건강을 살피고, 코 끝부분은 재백궁으로 재물과 부동산 등을 살핀다. 콧방울은 돈을 재테크하고 저축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콧구멍은 돈의 출납이나 소비성을 나타낸다. 콧방울이 풍성하고 빛이 나면 재물을 많이 버는 능력이 있고 콧구멍이 크면 재물이 많이 모여든다. 콧구멍이 큰데 정면에서 보이면 많이 벌지만 그만큼 지출할 일도 많이 생기게 된다. 콧구멍이 작은데 정면에서 보이지 않으면 작게 들어오지만 재물이 들어가면 나오지 않아 저축하는 능력이 있다. 어렸을 때 어른들로부터 많이 듣던 이야기인데 그렇게 말씀하신 이유가 다 있었던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