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표지에는 뇌가 쌓여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책의 원제에서는 인간의 학습 능력과 배움에 대해 다룬 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책에서 던지는 질문만 봐도 새롭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기의 뇌에 다룬 연구, 배운다는 것에 대한 연구, 교육자와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을 위한 책이 될 수 있고 생각을 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책입니다.
책에서는 직관과 숫자에 대해 함께 말하고 있습니다.어떤 장면을 봤을 때 놀라는지 연구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뇌의 가소성도 다루고 있고 기존에 다뤄졌던 가소성에 대해 새롭게 말하고 있습니다.또한 뇌를 통해 교육을 바라보고 있는데 교육은 단순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우리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할 수 있는 뇌의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억이란 무엇일까요? 뇌에서 기억을 뒷받침하는 물리적 토대에 대해 생각해봅시다.뇌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충격과 시냅스효과에 대해서도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익숙해진 용어이지만 중요한 것은 그 용어들이 지속적으로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집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배움에서 필수 요소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안하는 부분입니다.
흔히들 멀티태스킹이라 하는데 멀티태스킹의 오류에 대해 말해주고 있습니다.
배움을 얻고 배움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집중해야 하고 배움을 전달하는 대상과의 상호신뢰가 있어야한다는 점입니다.책에서 중요한 내용은 계속해서 나오지만 저에게 꽂힌 부분을 위주로 함께 보겠습니다.아이들은 특정 난이도에 맞춰진 교육의 도움을 받는 다는 연구가 있습니다.또한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 적극적 참여, 구체적 오류 정정, 명쾌한 교육방식을 더 좋아한다는 것입니다.에러 피드백에 대해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기존의 피드백 방식에 대해 되돌아봐야 한다는 것입니다.단순히 좋은점 나쁜점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에러를 구체적으로 짚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다뤄지고 있는데 부정적인 감정이 세분화되고 심화되면 두려움으로 바뀌고 배움과 기억에 방해가 된다는 것입니다.
배움의 발전을 위해서는 공포를 심어주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스트레스를 줘야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배움의 네번째 기둥인 통합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배움의 통합을 이뤄야지 자동화된 지식의 발산과 무의식적인 지식의 활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책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는 뇌과학과 인지과학을 근거로 우리의 뇌가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걸 근거로 어떻게 하면 잘 배울 수 있는지 소개하는 책입니다.
책은 인공지능의 개발 원리를 토대로 배움이 무엇인지 정의내리고 인간의 뇌가 얼마나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배움의 네 기둥 주의, 적극적 참여, 에러 피드백, 통합의 과정은 본인의 학습과 자녀교육을 하는 분들에게 엄청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AI 중심으로 세상을 열어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딥러닝’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것의 기초는 무한 반복을 통한 학습 과정일 것입니다. 다시 말해 사람이 어떤 것을 인지하듯이 기계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입니다. 그 학습의 내용은 인간이 언어와 숫자를 배우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배운다는 것은 결국 언어와 숫자를 뇌 속에 지속적으로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이런 과정을 인지신경과학이라는 학문에서 연구한다고 합니다. 저자 스타니슬라스 드앤도 인지신경과학자입니다. 많은 에피소드에서도 드러나지만, 그는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게 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수학에서 시작한 공부는 심리학으로 넓혀갔습니다. 프랑스에서 유명한 파리고등사범학교와 파리 제6대학(소르본대학교)에서 응용수학과 컴퓨터과학을 공부했습니다. 그 과정 중에서 뇌과학에 관심이 생겨 파리고등사회과학연구원에서 신경과학과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게 된 것입니다. 저자의 학문 이력을 보면 인간의 뇌가 지식과 정보를 입력하고, 그것이 배움과의 관련성에서 어떤 처리 과정을 거치는지 알게 됩니다. 즉 배움에 있어서 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송스클래스 여러분이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알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컴퓨터나 뇌과학 같은 미래 학문에서 수학은 중요한 과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