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공지사항 FAQ QnA
  • New Arrival
  • BestBooks
  • Category
  • Book Cafe
  • My Books
  • 후기공유
  • 읽고 싶은 책 요청
신의 화살
5.0
  • 조회 197
  • 작성일 2021-10-26
  • 작성자 김수길
0 0
<일리아드>에 묘사된 트로이 전쟁이 일어난지 3000년이 지났다. 이 책의 저자는 우리 눈 앞에 펼쳐지는 코로나19 사태를 바라보며 질병의 신 아폴론의 보복을 떠올렸다고 했다. 2020년, 신은 왜 우리에게 죽음의 화살을 쏘았고, 그 화살은 우리에게 어떤 질문을 남겼는가? . 의사이자 사회학자, 공중보건학자이자 생물학자로 활동하며 《포린 폴리시》 선정 ‘세계 100대 지성’에 이름을 올린 저자 니컬러스 A. 크리스타키스는 이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 의학, 사회학, 역학, 데이터과학, 유전학을 넘나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앞둔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를 전한다. 코로나 19 범유행의 양상은 지금도 끊임 없이 변화하고 있다. 아직 생물학적, 임상적, 역학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많다. 우리 행동에 따라 결과가 계속 바뀌기 때문이기도 하다. 앞 일을 뚜렸하게 내다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시간이 흘러야 알 수 있는 것도 많다. 2019년 늦가을 수십년간 박쥐 몸속에서 조용히 진화하던 바이러스가 불시에 인간에게 옮겨 갔다. 중국 우한시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그 우발적 사건의 세세한 경위는 아마 영원히 알 수 없을 것이다. 바이러스가 옮겨간 사람은 물론 세상 누구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그야말로 너무나 미미하여 눈에 띄지 않는 사건이었다. 그런데, 2020년 3월 15일 엔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연구소 소장은 전국적 봉쇄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곧, 미국의 모든 주가 연이어 외출금지령을 발동했다. 우려했던 것처럼 의료 종사자들의 진료 중 감염으로 인한 사례가 보도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2020년 6월 기준 600명에 이르는 의료 종사자가 사망했다. 중국과 이탈리아, 브라질 등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의료체계의 압박이 과중해 지면서 많은 의사와 간호사가 사망했다. 전 세계 의료 종사자의 사망 현황을 업데이트 하는 웹사이트에서는 2020년 5월 1일 기준 64개국 의료 종사자 1000명 이상의 명단이 게시됐다. 코로나19는 우리 개인의 사고방식과 습관을 많이 바꾸어 놓았다. 가정에서도,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다. 밖에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돌고 있고,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야 하며, 경기는 침체된 상황에서 무엇이든 혼자 하려는 마음이 커졌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폭 늘어남에 따라 수천만명의 미국인이 재택근무를 하며 생활리듬과 업무공간을 정비해 나갔다. 그런가 하면 수천만 명이 집에 머물렀다. 도시생활의 장점으로 여기는 다양한 문화생활, 직장, 카페, 대중교통 등이 이제는 강점이라 할 수 없게 됐다. 공공장소에서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다. 우리는 코로나19를 겪으며 고통도 많이 치렀지만 새로운 가능성도 발견했다. 사람들이 이동을 멈추면서 공기가 맑아졌고 탄소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변화 대응에 요구되는 수준까지 떨어졌다. 합심하여 다양한 비약물적 개입 조치를 시행하면서 집단적 의지의 중요성을 깨달았을 뿐 아니라경제적 불평등에서 인종차별, 의료 부실에 이르기까지 해묵은 사회문제를 정치적 운동으로 풀어나갈 계기도 마련했다. 정부는 순식간에 막대한 지출을 단행함으로써 막중한 위험이라면 얼마든지 대응할 수 있는 엄청난 경제력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코로나19를 통해 여실히 드러난 사실이 또 있다. 우리는 모두 뗄 수 없이 긴밀하게 엮여 있으며 사회 전체의 복지는 결국 최약자의 복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미국과 전 세계의 취약집단이 병원체를 상시 품고 있다는 병원소 구실을 할 수 있는 상황은 도덕적으로 매우 심려스러울 뿐 아니라 연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할 실질적 이유를 뚜렸이 보여준다. 코로나19 범유행은 국제 협력체의 필요성을 부각해줬다. 이는 인류가 직면한 까다로운 위협이 비핵화, 기후변화 말고도 더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기후변화와 범유행은 실제로 연관이 있는데 기후변화는 인간과 야생동물의 접촉을 늘리면서 새로운 범유행의 출현을 가속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범유행과 관련해 풀어야 할 과제들은 상당수가 국제 협력의 필요성, 인접국 간 비용분담 문제, 과학에 기반한 전문가의 의견존중, 복잡한 정치적 요인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코로나19 범유행은 향후 다른 범유행뿐 아니라 그 밖의 거대한 지구문제에 대비할 예행 연습 기회를 제시한 것이다.
등록
도서 대출
대출이 불가능합니다.
취소 확인
알림
내용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