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선택의 이유 : 책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돈의 심리학"이라.. "그래, 돈을 버는데 있어 내 심리 관리가 중요하지"라는 동의적 느낌으로 이 책을 선택하였다. 책을 알게 된 것은 명확하지 않지만 유튜브? 아니면 네이버?에서 누군가의 추천으로 알게 되었을 것 같다.
책의 내용 : 내가 읽으면서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은 구절들을 기록해 놓는다.
1. 사람들의 투자 결정은 본인 세대의 경험에 크게 좌우된다. 안전지향형이냐, 위험선호형이냐는 지능이나 교육보다는 개인적 경험, 우연에 좌우된다.
2. 어떤 결과도 100% 노력이나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어느 순간에 행운의 지렛대가 움직일지, 리스크의 지렛대가 움직일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3. 시간의 힘과 복리의 힘이 우리를 부유하게 만든다.
4. 누구나 부자가 될 수는 있지만, 누구나 부자로 남지는 않는다. 부자가 되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은 부자로 남는 것이다.
5. 이길 때 크게 이기고, 질 때 작게 지는 것이 중요하다.
6. 돈이 있다는 것의 중요한 의미는 내 시간을 내 뜻대로 쓸 수 있다는 것이다.
7. 내가 원할 때 원하는 것을 하고 싶은 자율권을 갖고 싶을 때, 예고 없이 찾아온 황금 같은 기회를 잡고 싶다면 꾸준히 저축하라.
8. 적당히 합리적이고 적당히 감정적인 전략이 더 우세하다.
9. 한번도 일어난 적이 없는 일은 반드시 일어나게 마련이다.
10. 아무리 옳다해도 내 앞에 있는 칩을 몽땅 걸 수 있는 순간은 없다. 파산을 하면 모든 것이 끝나기 때문이다.
11. 성공적인 투자에는 대가가 따른다. 변동성, 공포, 의심, 불확실성, 후회의 형태로 지불해야 한다.
12. 나와 다른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금융 신호를 읽지 않도록 조심해라. 투자기간이 30년, 10년, 1년, 아니면 데이트레이더인가?
13. 비관주의는 낙관주의보다 더 똑똑한 소리처럼 들리고 더 그럴싸해 보인다.
14. 돈에 대한 보편적 진실 몇가지
- 밤잠을 설치지 않을 방법을 택하라
- 포트폴리오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보라
- 내 시간을 내 뜻대로 하는데 돈을 써라
- 저축하라, 그냥 저축하라
- 실수의 여지에 항상 대비하라
- 장기적인 결정을 내릴 때 극단적 선택은 피하라
- 리스크를 좋아하라(그러나 파산할 정도의 리스크는 극도로 조심해라)
- 돈 문제에 있어 각자 의견은 다르다
- 혼란을 존중하라
15. 우리는 자신만의 투자전략을 찾아야 한다.
책을 일고 느낀 점 :
돈을 버는 방법에 관한 것 이라기 보다는 돈을 벌기 위해 어떤 심리상태로 인생을 버텨야할까의 방법에 관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책에서 풍기는 인생에 대한 고찰을 읽으며 "경제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가장 모범적인 인생"에 관해서도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느낌을 얻었다.
그래서 나에게 인생을 다시금 생각해 볼 기회를 준 저자인 모건하우절이라는 인간이 궁금했다. 얼마나 대단한 인간이길래 이런 책을 쓰고 한국에서 번역까지 되는 베스트셀러를 만들어 내었을까? 하는 궁금증에 구글에서 모건 하우절을 검색했다. 다행히 유튜브에 그의 인터뷰 영상이 있었다. 그런데 보고 나서 "에계~~"하는 소리가 입 밖으로 나올 정도로 그는 젊은 인간이었다. 적어도 나 보다는 인생의 연륜이 아직도 부족하다고 생각할 정도로 젊고, 심지어 인터뷰 중간에 잠깐 지나가듯이 등장하는 그의 아내와 어린 자녀의 모습을 보고 나니 뭔가 황당한 기분이 들었다. 더불어 저 젊은 사내도 저 나이에 이 정도로 생각을 쌓아 놓았는데, 나는 그 시절에 쌓아 놓은 게 별로 없었구나.. 하는 뭔가 서글픈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각성하게 되었다. "나도 이제부터 생각이라는 것을 하며 앞으로의 인생을 살아보자. 그래서 미래의 어느 시절에 책 한권을 쓸 수 있을 정도로 쌓아 놓은 뭔가를 만들어보자!!"
나의 경제 포트폴리오 : 현재의 나는 대차대조표를 만들어 놓고 있다. 한국의 특성을 감안하여 순자산 중 대부분은 역시 부동산이다. 그리고 일부가 동산인 펀드와 예금이다. 개별주식은 거의 없다. 이 대차대조표의 장점은 큰 변동성이 없기 때문에 밤에 다른 사람들보다 잠은 편히 잘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지고 보면 나의 투자방식도 시간의 힘과 복리의 힘을 믿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