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래유망산업으로써 바이오기술이 4차 산업혁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가 정책적으로도 바이오 R&D 부문과 규제 개선 부문, 바이오 혁신 생태계 구축 부문의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바이오 R&D 에서는 혁신신약, 의료기기 등 신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정밀의료, 유전체 정보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이오는 '생명'이나 '생물'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은 OECD 국가 중에서 상당히 상위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바이오 산업의 주요 분야로는 레드바이오(인체 의약품과 백신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 백신 등도 포함된다.), 그린바이오(흔히 유전자재조합식품으로 알고 있는 종자나 유전자가 변형된 동식물을 말한다), 화이트바이오(에너지, 소재 관련 바이오산업을 말한다)가 있다.
에너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기술은 더 나아가 에너지 활용의 스마트화를 촉진하여 가정, 빌딩, 공장 뿐만 아니라 도시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은 크게 세 가지 부문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전통적인 에너지 시스템의 운영, 둘째, 분산형 전원의 결합 시스템 운영, 셋째, 에너지 소비 및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한 새로운 사업모델 및 타 산업과의 융복합 사업모델 개발 등이다.
미래 성장동력, 신재생 에너지로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발전, 지역, 바이오, 폐기물, 수소, 연료전지, 석탄 액화, 가스화 등이 있다.
향후에는 이렇게 다양한 에너지원이 나오는 것 뿐만 아니라, 스마트그리드, 마이크로 그리드, 스마트 시티 등을 통하여 에너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게 된다.
이 책을 통해서, 바이오 및 에너지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을 통해서 미래의 새로운 발전동력으로서 기능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바이오 및 에너지에 대하여 공부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