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질은 도서 속도에 반비례 합니다. 속도가 빠를수록 독서의 질이 떨어지고 언어능력 상승효과도 낮아집니다. 소리내서 읽는 속도
보다 빨라서는 안 됩니다 교감신경계가 가장 불확활성화 될때는 TV시청시간과 수업시간입니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는 스스로 공부를 하고 부족한 부분만 사교육의 도움을 받습니다. 소설의 활자를 부지런히 읽어가면 자기도 모르게 생각과 감정의 덩어리로 느끼게 됩니다. 독서의
바른자세는 생각을 많이 할 수록 좋은 독서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속독은 좋지 않은 것이 됩니다
저학년 아이 독서 성공여부는 첫째, 아이에게 책 읽기를 피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각인시켜야 합니다. 둘째, 얼마나 재미있는 책을 선택하느냐 입니다. 독서 지도할때 명심해야 할 7가지는 1, 재미있는 독서가 좋은독서이다. 2, 독서시간은 매일 정해서 읽는다 3. 지식도서를 강요하지 않는다. 4. 일주일에 한번은 도서관이나 서점에 간다 5.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늦게 접할수록 좋다. 6.학습만화는 금물이다. 7. 천천히, 생각하며 읽을수록 똑똑해진다
청소년의 열등 독서를 개선하는 방법은 자기 연령수준에 맞는 책의 내용을 이해할때 까지 되풀이해서 읽고 또 읽는 반복독서를
활용하는 방법이다.소설 이야기는 상황제시- 곤경시작- 곤경강화- 곤경해소 라는 네개의 덩어리로 구성 되어 있다.
뇌는 첫번째 생존의 뇌, 파충류의 뇌(호흡, 심장박동)가 있고, 두번째, 포유류의 뇌 (감정, 기쁨 단기기억 담당, 6세까지 ) 세번째 층은 대뇌피질로 생각하는 뇌(지능, 사고, 언어, 7세 이후 )입니다
나쁜 독서습관의 99%는 속독입니다. 독서방법은 첫째, 슬로리딩 훈련법으로 1년에 한권 책을 읽으며, 둘째, 눈보다 더 깊게 읽는 필사방법
셋째, 초록독서법 은 지식독서 궁극의 독서법으로 연필을 들고 밑줄을 긋고, 문단별 주제를 메모하며 읽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