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부터 파리까지, 여행의 막을 올리다.-
유시민 작가는 건축물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텍스트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콘텍스트다. 건물은 보여질 뿐, 결코 여행객에게 친절하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유럽 도시 기행 1권은 친절한 여행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장소나 지명이 많이 나와 정철의 관동별곡을 읽는 것처럼 처음엔 갈피를 잡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덕분에 장소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론은 먼저 아테네에서 시작한다.
<아테네, 멋지게 나이 들지 못한 미소년>
아테네에 관해 내가 아는 것은 아테나와 포세이돈의 경쟁에서 비옥한 올리브 나무를 선사한 아테나의 승리로 주어진 지명이라는 사실과 그리스의 수도라는 것 뿐이다. 그리고 세계사 시간에 접한 파르테논 신전에 대한 막연한 지식. 그래서 부족한 정보를 이 서적에서 보충할 수 있었다. 아테네는 운이 좋은 도시였다. 걸출한 군사 전략가 테미스토클레스의 삼단노선 건조와 청동 충각으로 살라미스 해협에서 페르시아 함선을 격파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동지중해의 군사적 패권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아쉬운 점은 로마 정권의 붕괴와 그리스 왕국 수립 사이의 1500년의 역사적 공백이었다. 그 흔적은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아테네는 B.C. 6세기 초에 민주정을 도입하고, 정치체제를 물신 '데모크라티아'로 숭배했다. 그러나 직접민주주의를 선언했지만 그 결과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낳았으며, 여성은 여전히 노예였다. '여자도 덕이 있을 수 있다.'라는 말은 유시민 작가의 추정컨대 아스파시아로 인한 말일지도 모른다. 플라카에서는 표현의자유가 지닌 의미와 말과 논리의 가치를 각성시킨 곳이진. 아고라와 프닉스 언덕은 플라카가 없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플라카는 소피스트의 활동무대였다. 소크라테스는 '폴리스의 자유' 또는 '집단의 자유'에 한정되어있던 당대의 통념을 흔드는 질문을 던졌다. 신에 대한 믿음이 아니라 자신의 이성에서 도덕법을 끌어내린 것이다. 악법도 법이라는 것은 가짜 뉴스다. '폴리스가 정당한 절차에 따라 내린 결정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해서 그것을 회피하는 것이 옳은가?' 모두가 그렇게 할 경우 폴리스가 존속할 수 있는가?'. 어쩌면 이 말은 시대를 관통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공동체를 무너뜨리느냐, 개인의 신념을 관철하느냐. 쉽지 않은 물음표다. 아테네 챕터를 마무리하며 음식에 관한 짧은 얘기도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무사카'라는 음식이 궁금했다. 얇게 저민 감자를 깔고 튀긴 가지와 으깬 채소와 다진 소고기 또는 양고기를 층지게 쌓은 다음 커스터드를 올려 갈색이 되게 굽는 요린데 이 조합으로 맛없을 수가 없다. 한국에는 그리스 음식 전문 취급점이 없나? 몹시 궁금하다.
<로마, 뜻밖의 발견을 허락하는 도시>
로마에서 대표적인 것은 콜로세오다. 로마 정치체제 변화의 결과이며 상징이었다. 공화정 시대에 시민들은 포로 로마노에서 공직자를 선출하고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는 데에 참여했지만, 제정시대에는 콜로세오에서 잔혹한 검투를 즐기기에 바빴다. 500년동안 지속되었던 공화정의 실체는 왕정과 귀족정, 민주정을 절충한 혼합체제였다. 콘술은 왕정의 유산이었으며, 원로원은 귀족정의 전통을 반영했고, 민회는 민주정의 요소였다. 카이사르는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고 국가 재정을 튼튼히 하는 등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히지만 결국 브루투스에게 암살당한다. 제정으로 가려한다는 의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를 신격화했고, 그것을 칭호로 대물림했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은 이탈리아 통일을 기념하지만 사실상 신 스틸러는 가리발디였다. 마치니는 에마누엘레 2세의 군주제 통일을 비판하다가 생을 마감했다. 스페인계단과 트레비분수와 같은 관광명소는 인기가 여전했다. 바티칸 박물관과 대성당은 이탈리아식 자본주의를 보여줬다. 시스티나 예배당은 '콘클라베'를 열어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대성당은 예수의 고뇌보다는 때 탄 돈을 보여주기 적절했다.
<이스탄불, 단색에 가려진 무지개>
예전의 이스탄불이 지녔던 문화적.종교적.민족적 다양성은 거의 다 사라졌다. 터키공화국의 그르슨 1500년 이어진 국제도시 이스탄불의 문화 자산을 담아낼만큼 크지 않았다. 이스탄불의 아야소피아는 그 자체가 살아 있는 박물관이다. 최초의 아야소피아를 지은 사람은 콘스탄티누스 황제였다. '하기아 소피아'가 최초의 이름이었다. 523년 니카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죽은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이었을까?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하기아 소피아를 통해 신앙에 의존하면서 자신의 권위를 더욱 높이 세우려 했다. 하기아 소파의 위기는 1453년에 봉착했다. 메메트 2세는 도시의 이름을 이스탄불로 바꾸어 오스만제국의 수도로 선포한 후 '하기아 소피아 성당'을 '아야소피아 자미'로 바꿨다. 기독교 교회 하기아 소피아는 이슬람 사원 아야소피아 자미로 바꾹어 비잔틴제국 황제가 아니라 오스만제국 술탄의 힘과 종교적 권위를 나타내는 표식이 됐다. 아야소피아와 경쟁하며 공존하는 블루 모스크는 오스만제국의 아이콘 건축물이다. 이스탄불의 압권은 '지하궁전'이다.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배치된 메두사는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좋았다. 이스탄불의 터키화는 아타튀르크, 즉 무스타파 케말이 주도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1920년대 이뤄진 주민 교환 협정으로 150만 그리스인이 떠났고, 나머지마저도 1955년 불어닥친 민족주의 광풍으로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