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와 타협으로 조기에 끝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장기전으로 치닫고 있는 트럼프의 미국과 시진핑의 중국이 벌이는 미중 무역전쟁 시나리오의 모든 것. ‘세계 1위 대국’이라는 자리를 두고 벌어지는 패권전쟁이라는 시각도 존재하는 만큼 다양한 해석과 진단이 넘쳐나고 있다.
슈퍼 301조의 위협 속에 미국과 치열한 협상을 벌였던 최고 국제협상전문가의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미래지향적 인사이트가 디테일하게 묘사된다.
미국의 트럼프와 중국의 시진핑. 미국의 새로운 변화는 트럼프라는 불확실한 지도자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트위터를 즐겨 쓰고 있으며, 그의 한줄 문장이 한국의 언론에 회자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앞으로 어떤 고민을 해야 하는지 진지한 고민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 미국과 구소련 간에 있었던 냉전체제를 대신하여 중국과 미국의 무역 분쟁이 현재 진행 중이다. 특히 미국은 달러의 힘을 빌러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중국은 거기에 대항하려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모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선거에 미칠수 있는 제약들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미국과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압박해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불균형을 해결하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양한 모양새를 취할 수 있다. 그건 두 나라 간의 힘겨루기가 한국의 입장으로 보면 위기가 될 수 있고,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서 미국의 변화와 중국의 저항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고, 그 변화에서 한국은 어떠한 외교 정책을 추구해야 하는지, 더 나아가 한국의 취약점을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