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지 않는 돈의 법칙
2018.3월 Tony Robbins
재정적 자유를 얻기 위해 명심해야 할 사실, 프리덤 팩트
(1) 1900년 이후 조정장은 평균적으로 거의 매년 발생했다
(2) 조정장이 약세장으로 들어설 가능성은 20% 이하이다
(3) 시장의 흥망을 지속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4) 주식시장은 단기적 후퇴는 있을지언정 꾸준히 상승한다
(5) 약세장은 역사적으로 3~5년마다 발생했다
(6) 약세장은 강세장이 되고, 비관주의는 낙관주의가 된다
(7) 가장 위험한 행동은 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다
여러 차례의 전쟁과 테러, 금융위기에도 미국의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항상 상승했다. 기업 수익이 증가하고 노동자들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올라가고 인구가 증가하고 새로운 기술이 발전할수록 주가는 계속 상승한다는 것이다. 언제 올지 모르는 약세장을 대비해 시장에 참여하지 않고 현금을 들고 있다가는 보다 확률이 높은 강세장에도 구경만 하고 있어야 할지 모른다. 실제로 지난 1996년~2015년 기간 S&P500 인덱스는 연간 8.2%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지만 최고 강세 거래일을 10일만 놓쳤어도 수익률은 연 4.5%로 떨어지고 최고 강세 거래일을 30일간 이탈해 있었다면 0%의 수익률을 보게 된다. 슛을 날리지 않으면 골인은 100% 불가능하다.
한편, S&P500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의 장점은 약한 회사들은 필연적으로 도태되는 한편 보다 강하고 튼튼한 회사들이 그 자리를 메운다는 것이다. 바로 적자생존의 법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존 보글도 정말로 약세장을 맞닥뜨렸을 때 증시가 반 토막이 나면 비참하다고 한다. 뱃속에 바위덩이가 들어앉은 느낌이 드는데, 그 때마다 '죽어도 끝까지 버티라'는 책들을 몇 권 꺼내 통독을 하는 것이다. 하락장세가 지속되다 보면 대부분 사람들이 비관주의에 물들어 주가는 다시 상승하지 않을 것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손해만 보고 겨울이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고 믿게 된다. 그러나 겨울은 '절대로'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워런 버핏은 말한다. 주식시장은 인내심 없는 사람의 돈을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 이동시키는 도구이다. 다른 사람들이 욕심을 부릴 때 겁을 내고, 다른 사람들이 겁을 낼 때 욕심을 부리는 것이 내 주식 매입의 법칙이다.
부의 거인들의 핵심 투자 원칙
(1) 돈을 잃지 마라
(2) 비대칭 위험/보상을 따져라
(3) 세금효율을 최대한 높여라
(4) 분산투자하라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50대 50의 확률에 돈을 걸기 보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것만 찾아서 그 게임에 참여하다 보면 실패할 확률이 줄어든다. 2m 짜리의 장대 높이뛰기가 어려워 보인다면 30cm 짜리 줄넘기 게임만 계속 하면 돈을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벌 수 있지 않을까. 이론의 세계에는 적정한 리스크 대비 적정한 수익률이 계산되지만 실제 투자의 세계에는 매우 낮은 위험 대비 높은 수익률, 그리고 높은 위험 대비 확실히 낮은 수익률이 보장되는 게임도 많이 있다. 자산 가격이 충분히 내려갔을 때 더 이상의 하락 위험이 없다고 판단될 때 대량으로 자산을 매입하면 상승 확률이 더 높을 것이므로 게임에 이기는 경우가 더 많아질 것이다.
진정한 부를 느끼기 위해 마음을 다스리는 법 7단계
- 고등학생 때 틱낫한 스님의 화(Anger), 힘(Power)를 읽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한 발자국 한 발자국을 내 딛는 현재 나의 살아있음을 항상 인식하며 살라고.
(1) 삶에서 아직 마무리 짓지 못한 분야를 선택하라
(2) 선택한 상황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며 두 손을 가슴 위에 올려라
(3) 숨을 깊이 들이 마시고 내쉬면서 심장에 감사하라
(4) 가슴 깊이 숨을 들이마시고 심장이 거기 있다는 데 깊이 감사하면서, 문자 그대로 심장박동을 느껴라
(5) 첫 번째 축복 같은 경험을 떠올리며, 마치 지금 그 일을 겪고 있는 것처럼 기억 속으로 들어가라
(6) 또 다른 경험을 회상하되, 이번에는 우연한 경험을 떠올려라
(7)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무한한 감사의 마음을 온몸으로 느끼며, 방금 전까지 당신을 괴롭힌 문제를 상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