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몰랐던 과학자들이 친근해지는 진짜 과학책
재미와 과, 둘 다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의 산 '야밤의 공대생 만화'. 자라나는 새싹들에게 노잼 과학만화를 읽혀서 어린 시절부터 트라우마를 겪고 과알못의 길을 걷지 않도록, 서울대 공대생이 직접 구상하고 글과 그림까지 혼자 그린 책이다. 복학 직전에 서울대 커뮤니티 사이트 스누라이프에 트랜지스터의 발명자에 대한 에피소드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페이스북과 카카오플러스친구, 딴지일보에서 1년 반 동안 연재하며 인기 만화로 자리 잡았고, 책으로 읽고 싶다는 독자들의 바람에 힘입어 연재분 29편을 수정, 보완하여 출간했다.
유명 과학자부터 조금은 생소한 과학자까지, 고등학교 때 배우는 미적분부터 알파고까지, 과학사의 중요한 인물과 사건을 시시콜콜 나열하거나 무리해서 어려운 과학을 설명하려 하기보다, 원리와 의미를 짧고 깔끔하게 설명하면서도 재미있게 읽고 핵심을 이해하며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인터넷 유머와 센스 넘치는 패러디로 전달하면서 이름만 알았던 과학자들의 새로운 인간미를 접할 수 있게 했다.
저자 맹기완은 본업은 햇병아리 공대생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였고,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컴퓨터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아이패드 산 기념으로 재미로 끄적여 본 제목도 없던 만화가 생각보다 많은 사랑을 받아서 이렇게 30회를 넘기고 책까지 내고 말았다. 생애 첫 출판물이 논문이 아니라 만화책이 될 줄은 본인도 몰랐다. 추리소설과 밴드 음악을 좋아한다. 미국에는 홍대가 없어서 슬프다.
추천사
이정모 (서울시립과학관장)
마치 내가 과학사의 주인공이 된 것 같다. 나의 눈으로 위대한 과학자들의 고민을 경험하고 실패에 좌절하는 것 만큼이나 신나는 일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그러면서도 이 책은 우리에게 선배 과학자들에 대한 애정과 존경심을 놓치지 않았다. 과학사를 애정하는 모든 사람에게 강추한다.
김낙호(capcold) (만화연구가)
과학의 매혹과 기이함, 과학자라는 인간들의 경이와 결함, 그 함의의 심오함과 희극성은 결국 하나다. 과학에 대한 애정과 개그에 대한 집착이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최고의 과학 만화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사두용미다. (용두사미가 아니다!) 심심풀이로 시작했을 법한 페이스북 연재만화가 멋진 책이 되었다. 짧지만 엣지 있고, 얕지만 비범하고, 허름해도 위트 있다.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과학기술 잡학사전'이랄까.
데니스 홍 (UCLA 교수, 로봇공학자)
페이스북에서 우연히 접하고 광팬이 되었다. 연구하다가 골치가 아플 때,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도대체 이 일을 왜 하는지, 공부와 연구에 회의가 들 때...
반뜩이는 영감과 아이디어를 얻고 동기 부여와 함께 웃음으로 에너지를 한껏 재충전하기에 딱 좋은 책! 계산기와 함께 모든 과학도, 공대생의 필수 아이템!
'뉴턴부터 빌 게이츠까지, 과학사의 슈퍼스타가 페북에서 '드립 만화'로 뭉쳤다!
뉴턴과 빌 게이츠를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뉴턴이 미적분의 '원조'를 놓고 '키보드 배틀'을 한 이야기나 화폐위조범을 잡으러 다닌 이야기, 빌 게이츠가 법학을 공부하려다가 수학 수업을 듣고 세계적인 난제를 풀어낸 이야기는 들어 본 사람이 많지 않을 것이다. 이 책에는 유명 과학자들의 생애를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과 반전으로 엮어내 끝까지 읽도록 만드는 힘이 있다. 업적을 시시콜콜 나열하거나 무리해서 어려운 과학을 설명하려 하기보다, 원리와 의미를 짧고 깔끔하게 설명하면서도 재미있게 읽고 핵심을 이해하며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책으로 묶으면서 추가로 넣은 채팅 인터뷰도 깨알 같은 재미를 준다. 학습만화에서 배경 설명이나 추가 정보를 담은 페이지들이 지루한 설명문을 빽빽하게 넣어서 독자에게 외면당하는 것과 달리, 작가 특유의 개그와 정보를 절묘하게 이어붙인 인터뷰는 만화에서 담지 못한 정보를 알기 쉽게 대화체로 녹여냈을 뿐 아니라 만화와는 또 다른 재미를 담아냈다. 또한 각 컷에 페이스북 독자들이 달아 준 댓글 가운데 재미있고 공감가며 유익한 댓글을 작가와 출판사가 함께 선정해 만화 옆에 실어서, 마치 다른 독자와 함께 만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