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 교수님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완독, 후기를 남긴다. 앞으로는 그냥 후기라고 쓰려고 한다. 독후감이라고 하기엔 책 내용은 없고, 읽고 난 후 개인적인 단상 같은 것들을 남기는 느낌이다. 어린 시절의 나는 다른 아이들이 하지 않는 질문을 하는 아이였다. 초등학교 때 내가 하던 질문은 이런 것들이었다.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맨 앞에는 뭐가 있을까? 반대로 끝까지 돌리면 무엇을 만나게 될까? 내가 보는 빨간색은 다른 사람도 똑같은 색채로 느낄까? 중학교로 올라가며 질문은 좀 더 심각해졌다. 손톱을 깎으면 나는 나를 깎는 것일까? 나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먹는데, 어째서 손톱과 머리카락 을 얻는가? 138억년 우주의 역사에, 나는 왜 하필 이 순간 이 별에서 태어났을까? 왜 모든 생명은 죽는가? 애초에 생명이란 무엇일까? 나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모르는 것은 내 나이가 적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생각 해낼 정도로 간단하고 당연한 질문이니까 세계적이 석학들이 이미 연구를 해 놓았을 것이고, 그 러니 곧 학교에서 가르쳐 줄 것으로 믿었다. 그런데 수십년이 지나고 마흔 근처의 어느 날 문득, 어린 시절의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나는 여전히, 전혀, 하나도, 모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어린 시절의 나에게 하나의 답도 주지 못한 채, 그저 나이를 먹고, 그저 끄적끄적 돈이나 벌며, 하루하루를 살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스스로 그 답을 찾아내기로 했다.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있으리라 짐작되는 부분을 막연히 읽기 시작한지 10년쯤 된 것 같다. 나는 주중엔 여전히 끄적끄적 돈을 벌고, 주말엔 양재천 카페에 앉아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다. 그리고 이번에 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을 읽고 알게 된 건, 김상욱 교수님은 나와 같은 동기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분이라는 것이다. 이 책 들어가는 글에서 김상욱 교수님은 이렇게 쓰신다. “어린 시절, 나는 땅을 파고 들어가면 무엇이 있는지 궁금했다. 꽃삽으로 놀이터 땅을 파기 시작하고 50센티미터도 못 가 땅을 파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깨달았다. 그것으로 나의 지하세계 모험은 끝이 났다. 그 후 나는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해보기 보다 책을 찾아보는 것이 좋은방법이라는 것을 알았다. 나는 세상 모 든 것을 이해하고 싶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통해 (교수님의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내 오랜 질문 중 하나가 풀렸다. 위에 서도 소개되었는데, “나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먹는데 어째서 손톱과 머리카락을 얻는가?” 하는의문이다. (대체 왜 그게 궁금한가, 싶을 수 있다. 인정한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가지를 알아야 한다. 하나는 원자가 불멸한다는 것이 고, 세상에 있는 모든, 원소 번호가 같은 원자는 서로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원자가 불멸한다고? 나무를 태우면 재만 남는데 무슨 허튼 소리냐, 싶지 않은가? 자, 그렇다면 일단 나무를 태워보자. 나무는 셀룰로스라고 하는 긴 탄수화물 체인으로 되어 있는데, 충분한 열이 가해지면 셀룰로스는 메탄, 수소, 탄소 등으로 분해된다. 다른 것들은 제쳐 두고 탄소 하나에만 집중해 보자. 탄소는 공기중에서 산소와 결합한다. 산소 하나와 결합하면 일산화탄소가 되고(그래서 텐트 안에서 밀폐되지 않은 스토브를 켜 두고 자면 목숨을 잃는 것이다) 산소 두개와 결합하면 이산화탄소가 된다. 이 탄소는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이제 캠핑장 주변을 기체가 되어 떠돈다. 둥실둥실 허공을 떠돌던 이산화탄소는 어느 나무 잎새에 닿는데, 나무 잎새의 엽록체는 나무 내부의 물과 이산화탄소를 합쳐 포도당과 산소로 재조립한다. 탄소는 이제 포도당이 되었다. 이 과정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이 나타내는 이 과정에서 어떠한 원자도 새로 생겨나거나 사라지지 않는 다는 것에 주목하자. 원자는 불멸한다고 했다. 탄소와 산소와 결합하여 만들어졌던 이산화탄소에, 이번엔 수소가 함께 결합되며 포도당이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포도당을 녹말의 형태로 자신 안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짝꿍인 수소를 잃은 물은 버려진다. 식물이 산소를 생산하는 원리다) 이윽고 가을이 되었다. 캠핑장에 단풍이 피었다. 나무는 열매를 맺었다. 먹음직스러운 빨간 사과다. 사과의 85%는 물이고, 12% 정도가 당분인데, 절반이 과당이고 나머지 절반 정도가 포도당이다. 이 포도당이 어디에서 왔을까? 그렇다. 방금 녹말로 저장되었던 그 포도당, 나무를 태울 때 나
온 그 탄소로 만들어진 포도당이 과일로 옮겨온 것이다. 봄에 이어 가을 캠핑장에 찾은 나는 이 사과를 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