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의 의미는 쉽게 말해 아이를 기르는 것이다. 이는 좁게는 갓난아기를 거쳐 초등학생까지의 어린 아이를 기르는 것부터 넓게는 취업과 자립까지 도와주는 것을 뜻하는 의미일 것이다. 흔히 육아를 농사에 빗대서 자식농사라고 하기도 하는데, 농사만큼 손이 많이 가고 힘들기도 하며 아무리 노력해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 때문에 누구는 자식농사 대신 더 힘든 돌봄 노동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육아는 직접해보면 매우 어렵고 힘들다. 순간적인 노동 강도 자체가 낮을지는 모르겠으나, 휴식시간이 없고 예측할 수도 없는 등 24시간 365일을 대기 상태로 있어야하기 때문에 힘든 부분이 있다. 굳이 부모가 아니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가는 것도 육아를 힘들게 하는 부분이다. 신생아를 돌보는 일은 특히 더 힘든데, 신생아는 낮과 밤의 구분이 없고 매 2~3시간마다 먹여야 하다보니 모유 수유를 하는 엄마들은 거의 잠을 못잔다. 두 세달 정도는 거의 매일 밤을 세워야 하는데, 먹이고 트림시키고 기저귀를 갈고 안아 재우다가 눕히면 깨서 다시 먹이고 반복시키는 행위는 부모를 힘들게 한다. 덕분에 하다 보면 자식에 대한 애증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옛말에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온 돈네가 나서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괜히 나오는 말이 아닐 것이다.
신생아나 유아의 경우에는 특히 안전사고에 취약해서 한시도 눈을 뗄 수가 없다. 한국은 조리원 문하가 발달되어 그나마 초기 어려움을 늦게 겪을 수 있으나, 조리원에서는 신생아를 돌봐줄 뿐만 아니라 아기 돌보는데 필요한 각종 스킬을 속성으로 배울 수 있고 무엇보다 밤에는 잘 수가 있다. 산후조리에 가장 필요한 것은 잠인데, 대부분의 조리원에서 모유와 분유를 혼합수유하면서 동시에 모유 수유를 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짜서 운영하고 있다.
더드슨이라는 사람은 육아를 1년 365일 내내 쉬는 시간이 없는 직장을 갖는 일이라고 표현했다. 20~30년간 철이 들지 않는 남녀를 부모로 길는 과정이며, 부모에 대한 효심을 샘솟게 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육아를 하다보면 사회생활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장소에서 마찰을 빚을 일이 맞아지게 된다. 이러한 마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기와 어린이들이 아직 미숙하고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하여 사회 생활에서의 공고예절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면을 잘 지도해줘야 하는 것이 바로 부모 등 친권을 가진 보호자인데, 실제로 아이를 돌보다 보면 제멋대로 돌아다니는 아이들의 민폐 행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통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소한 것을 하나도 놓치면 비난을 받기 십상이다.
사회 질서를 잘 모르고 그건을 배워 가는 중인 아이들은 자기의 행위가 나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감이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책임 능력이 없으므로 과실에 대한 배상의무 또한 없다. 하지만 감독자인 부모 입장엣는 아이의 행위를 감독할 법정의무가 잇으므로 이를 내버려뒀을 때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부모가 책임을 져야 한다. 보통은 피해를 본 상대방에게 정중히 사과하고 배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런 일을 해결해 주기 위한 손해보험 계열의 가족일상 생활중 배상책임 보험도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사회적 마찰로 거론되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아동의 소음 문제 및 그에 대한 부모의 방치로 볼 수 있다. 아이들에게는 다른 사람들이 있는 공공장소에서 뛰거나 시끄럽게 소리를 지르면 안된다는 등의 공공예절 개념이 아직 낯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노키즈존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대표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아이가 문제를 일으켰을 때, 사회에서의 마찰을 더 크게 키우는 이유이며 비난을 받는 것은 사실 문제를 일으킨 아이가 아니라 막지 못한 부모가 비난을 받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 비난을 아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서 받는 비난임을 마치 아이가 받는 비난인 것처럼 오해하여 무고하고 무지한 아이가 무고한 피해를 받는다고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육아는 굉장히 어렵고 힘든 일은 틀림이 없지만 그 만큼 책임을 가지고 관리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