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이토록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 ‘꿀잼’이기 때문에! 구독자 수 70만 명, 총 조회 수 6천만 회를 넘어선 과학 채널 ‘1분과학’의 대표 에피소드를 만화로 풀어냈다.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과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중요한지를 느끼게 하는 흥미진진한 과학 스토리텔링을 책 한 권에 담았다. 커피, 고양이, SNS 같은 생활 속 주제부터 유전자, 시간, 진화 등 무게 있는 주제까지, 빠져들면 10분이 1분처럼 흐르는 놀라운 과학 이야기가 시작된다
과학이 이토록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 ‘꿀잼’이기 때문에! 『1분 과학』은 구독자 수 70만 명, 총 조회 수 6천만 회를 넘어선 과학 채널 ‘1분과학’의 대표 에피소드를 만화로 풀어낸것이다.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과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중요한지를 느끼게 하는 흥미진진한 과학 스토리텔링을 책 한 권에 담았다. 커피, 고양이, SNS 같은 생활 속 주제부터 유전자, 시간, 진화 등 무게 있는 주제까지, 빠져들면 10분이 1분처럼 흐르는 놀라운 과학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과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중요한지를 보는 사람이 느끼게하고자 이 채널이 다루는 주제는 다종다양하다. ‘운동을 해야 하는 진짜 이유’나 ‘커피로 20분 만에 개운해지는 법’ 등의 에피소드는 생활과 관계된 실용적인 정보 속에 과학적 원리를 담아내어 과학을 한층 친근하게 느끼게 한다. 한편, 최고의 조회 수를 자랑하는 천문학 에피소드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는 인생에 대한 성찰과 인류애마저 자아내며 뜨거운 감동을 전한다. ‘시간이라는 환상’에서는 중력과 시간이라는 물리학적 주제를 설명하며, 과학을 잘 모르는 대중도 ‘시간의 실체’에 대해 생각하면서 인식의 틀을 바꿔볼 기회를 주기도 한다.
‘1분과학’ 영상에 달린 댓글들 속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감상은 ‘과학이 생각보다 재미있다는 걸 느꼈다’는 것이다. 2016년 개설된 과학 채널 ‘1분과학’은 흔히 생각하는 인기 유튜브 채널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수십만 팔로워의 사랑을 받는 독특한 채널이다. 채널 이름은 ‘1분과학’이지만 실제로 길이가 1분인 영상은 딱 하나뿐이며, 대체로 5분에서 10분 정도다. 다루는 주제도 항상 쉽지만은 않다. 중력파, 다중우주 등 쉽사리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적 주제부터 신의 의미, 가상과 실재 등 철학적인 주제까지 망라한다. 영상 업로드 주기도 몇 주에서 몇 개월까지 제법 긴 편이다. 그런데도 구독자들은 기꺼이 그 시간을 견디며 ‘예전 영상을 계속 다시 본다’, ‘이 정도 퀄리티로 만들려면 당연히 시간이 걸릴 것이다’라며 격려할 정도다. 이 채널이 전하는 과학 이야기는 그만큼 독보적으로 구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1분 과학》의 저자, 과학 크리에이터 이재범은 “과학 이야기가 지루해지지 않도록 2분이 넘지 않는 짧은 영상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에 채널명을 ‘1분과학’이라고 지었고, 배경음악을 넣고 랩 하듯 빠르게 말하는 게 콘셉트였다”고 밝힌다. 그는 독특한 유머가 넘치는 스토리텔링으로 ‘과학 전달자’로서의 매력을 뽐내며 과학과는 담 쌓고 지냈다는 구독자에게도 과학의 재미를 일깨우고, 숨어 있던 지적 욕구를 자극한다.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과학과 관련된 영상을 주로 다룬다. 초창기 과학유튜버중 한 명이며, 짧은 시간동안 이어지는 화려하고 멋진 편집, 알찬 내용까지 평가가 매우 좋다.[6] 영상의 주제는 겨털에 관한 이야기부터 "시간은 환상이다"와 같이 굉장히 철학적인 주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시청에 앞서 주의해야할 것은 해당 유튜버는 1분과학이라는 채널명을 달고는 있지만 과학 그 자체보다 과학적인 사실을 해석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적인 담론을 이야기 하기에 순수하게 과학적 사실을 보러온 사람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 특히 '시간이라는 환상!!! (과거, 현재, 미래는 이미 존재한다)'과 '신이 되는 법 (전체공개)' 영상은 과학이라는 범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야기를 하는 내용이다
또한 철학적 주장이 굉장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청하는 입장에서 주의를 요한다. 과학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기는 하지만 오히려 그보다는 그에 관련된 사안이나 유물론적 자연주의나 물리주의, 과학주의같은 사상이 기저에 깔려있는 주장이 많기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 모두가 과학적 주장'으로 오해할 수 있게끔 내용이 제작되므로, 시청자는 이에 대해 주의해야 하기는 한다. 특정 이론, 또는 해석만 선별하여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