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언어발달에 관한 책.
아이가 말을 잘 할 수있게 도와주는 책이 아니라 상대의 말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게 중요하다는걸 알려주는 책이다.
태어나서 부모와 눈마주치는 순간부터, 백일무렵 표정을 관찰하고 옹알이를 하는 순간, 눈으로 사물을 알아보는 순간,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부모가 말로 표현해 준다면 아기는 본인의 감정을 나타내는 말을 배울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아기 성장과정에서 반복해서 읽어두면 우리 아이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신생아 시절에는 흑백모빌과 부모의 목소리, 수유할때 아기와 눈마주치는 방법으로 말을 걸어준다.
백일 무렵에는 아직은 옹알이가 적고 표정의 변화가 적지만 목도 스스로 가누고 아직은 배넷짓과 함께 아기의 변화하는 표정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아기는 부모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반응하는걸 다 알수있고 이러한 관계가 누적되어 상대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아기로 자라게 된다.
6개월 무렵 아이에게 간단하지만 반복적인 감정의 언어를 간단한 단어로 표현해주면 좋다.
12개월 이후에는 아기에게 말을 해주는 것도 필요하지만, 잘했다, 잘못했다, 칭찬과 훈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훈육을 하더라도 아이를 꼭 안아주고 부드럽게 풀어주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베이비사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아이도 간단한 베이비사인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알려주면 좋다. 자연스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아기는 36개월이 지나도 왜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어려워한다. 아이에게는 네,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으로 말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공격적인 표현을 할 때는 나무라기 보다, 속상했구나, 하고 이해해주는 포인트가 중요하고. 공공장소에서 떼를 쓰면 혼을 내기보다 가볍게 안고 나와서 주의를 환기시켜 주는게 필요하다. 동생을 때리는 아이에게는 야단을 치기 보다는 꼬옥 안아주며 부모의 애정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내 자녀가 아닌 다른 사람의 아기를 대할때는 반가운 마음에 달려가서 말을 걸고 둥가둥가 해주기 보다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 익숙한 사람인지, 낯선 사람은 아닌지, 경계심을 풀어도 되는지 등 아기에게 적응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기다릴 필요가 있다. 아기가 예쁘다고 낯선사람이 달려가서 갑자기 안고 예쁘다 하면 아기는 심한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낯선 어른일 경우 아기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아기와 1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아기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거나 부드러운 표정으로 관심을 끌며 천천히 다가가는 상황이 필요하다.
아기가 알아듣지 못하는 말을 길게 하면 오히려 아기는 스트레스를 받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언어 이해력이 발달하지 않았는데 긴 문장으로 계속 말을 걸면 부모의 말을 단순히 소리로 인식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지혜로운 말걸기는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아기의 언어 이해력 수준에 맞추어 아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하는 것이다.
아이가 부정적으로 말할 때 못들은척 하고 관심을 보이지 않는 방법도 있다. 자칫 아이는 자기도 모르게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말투가 나오는 것인데 ㅈ나치게 야단치고 훈육하면 되려 안좋을 수 있으니 부정적인 것엔 무관심, 잘한 것에는 칭찬을 많이 해주면 좋다.
지혜로운 말걸기는 아이의 언어 이해력 수준에 맞춰 아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말을 걸어주는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언어 이해력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을 빨리 하는 것에만 집중하고 있지, 유아기의 언어발달은 언어 이해력에 있다는 것을 간과한다. 언어를 이해하고 있다면 언어 발달상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생후 15개월 이후의 아기는 안된다는 부정적인 메시지는 짧게, 스트레스를 느껴서 길게 설명하는 경우 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 눈치가 발달하고 말할 때 간단한 동작을 취해주면 아기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외국인과 대화하듯한 풍성한 바디랭기쥐를 취하면 도움이 된다.
자폐성 발달장애의 경우 아기가 상호작용을 피하고, 말과 소리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한다. 언어발달 장애 중 하나인 수용성-표현성 복합 장애는 단어는 이해가 가능하나, 24개월 이후 문법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언어 이해력이 발달하지 않았는데 긴 문장으로 계속 말 걸면 부모의 말을 단순한 소리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