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이동욱
그릿GRIT(50만부판매기념리커버골드에디션)
0
0
**『그릿(Grit)』**은 심리학자 앤절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가 저술한 책으로, 성공의 핵심 요소로 ‘그릿’을 제시한다. 그릿은 단순히 재능이나 운이 아니라, 꾸준한 열정과 인내심을 바탕으로 목표를 이루어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서평에서는 **『그릿』**이 제시하는 주요 개념들과 그 실천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 책이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성공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분석하겠다.
### 1. 그릿의 정의
책에서 더크워스는 ‘그릿’을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끈기와 열정”**으로 정의한다. 재능이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지만, 더크워스는 재능보다는 끈기와 노력, 그리고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열정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천재성’**이나 **‘타고난 재능’**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그릿은 누구나 가질 수 있으며, 훈련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매력적이다.
그릿의 본질은 두 가지 요소로 나뉜다. 첫 번째는 **‘끈기’**다. 이는 어려움에 부딪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나아가는 능력을 뜻한다. 두 번째는 **‘열정’**이다. 단순히 시작할 때만 열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변함없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열정을 말한다. 많은 사람들은 초반에 열정적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열정이 식는다. 그러나 그릿을 가진 사람들은 처음의 열정을 잃지 않고 꾸준히 지속한다.
### 2. 그릿과 재능의 관계
더크워스는 그릿이 재능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재능이 완전히 무의미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재능은 분명히 성취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지만,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더크워스는 연구를 통해 재능이 뛰어난 사람들이 오히려 쉽게 포기하거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노력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녀는 **“재능은 노력 없이 의미가 없다”**는 주장을 펼친다. 재능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지만,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끈기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더크워스는 **“노력은 두 배로 중요하다”**는 공식까지 제시한다. 그녀는 노력(Grift)을 통해 재능을 기술(skill)로 발전시키고, 다시 그 기술을 지속적인 노력으로 성취(achievement)로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3. 그릿의 구성 요소
그릿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더크워스는 네 가지를 제시한다. **첫 번째는 ‘관심’**이다. 자신의 목표를 향한 진정한 관심과 열정을 찾아내고, 그것에 몰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중요한 것은 단순한 흥미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끌리는 관심사를 찾아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연습’**이다. 이는 끊임없이 자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노력을 의미한다. 단순히 같은 것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연습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는 ‘목적’**이다. 그릿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만의 목표를 넘어서, 더 큰 공동체나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개인적 성취를 위한 노력이 아니라,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동기가 있다는 것이다.
**네 번째는 ‘희망’**이다. 희망은 단순한 낙관주의를 넘어서, 어려움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갈 수 있는 정신적 회복력이다. 그릿을 가진 사람들은 실패와 좌절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다시 일어서서 도전한다.
### 4. 그릿을 기르는 방법
그릿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 경험을 통해 기를 수 있는 능력이라고 더크워스는 강조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릿을 기를 수 있을까? 책에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는데, 그 중에서도 **‘성장 마인드셋’**을 강조한다. 이는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여기는 태도로, 심리학자 캐롤 드웩(Carol Dweck)의 연구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그릿을 가진 사람들은 실패에 좌절하기보다는, 이를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 더 나은 자신을 만들어 나간다.
또한 더크워스는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 중단기 목표를 차근차근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구조적인 목표 설정은 그릿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며, 방향성을 잃지 않게 돕는다. 또한, 지속적인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발전 상황을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5. 그릿의 실제 적용 사례
**『그릿』**은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책에서는 **운동선수**, **기업가**, **예술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이 그릿을 바탕으로 도전에 맞서 싸운 이야기를 다룬다. 예를 들어, 세계적인 운동선수 마이클 조던은 타고난 재능이 아닌, 끊임없는 훈련과 노력으로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독자들에게 그릿이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제 삶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그릿의 효과도 강조된다. 특히, 교사와 부모가 아이들에게 그릿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성적이나 성과만을 강조하는 교육 방식보다는, 아이들이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도록 돕고, 꾸준히 노력하는 태도를 기르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시험에서의 성공뿐만 아니라, 인생 전반에서 아이들이 보다 더 성숙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 6. 결론
**『그릿』**은 재능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열정과 끈기임을 강조하며, 우리에게 성공을 이루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책을 통해 우리는 단기적인 성과나 성취에 연연하기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릿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며, 누구나 훈련과 경험을 통해 기를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책은 특히 오늘날과 같은 성과 중심의 사회에서 개인들이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지 않고, 더 큰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성공은 결코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릿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노력과 열정만이 진정한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메시지는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